이제 다음주면 한국도 안녕이네요... ㅠㅠ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새로운 업무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지만 한번 도전해보려 합니다. 😛
이전 1년간의 출장을 경험으로 인도네시아 출장시에 준비 사항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티은행 통장 및 체크카드
가장 중요한 부분이 현지에서 사용할 비용에 대한 부분이겠죠... 시티은행에서 해외에서 사용가능한 통장과 체크카드를 만들어 달라고 하시면 인도네시아에서 체크카드를 이용해 쉽게 돈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가시면 국내에서 들어보지 못한 은행 브랜드 들이 많이 있습니다.. 시티은행 ATM을 필요한 시점에서 찾기도 쉬운게 아니죠.. 이럴때는 BCA, BNI등의 ATM을 이용하셔도 비용을 인출 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충 ATM기기에 VISA 바크가 표시되어 있으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TM에서 비용을 찾게되면 한번 인출시마다 소정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백만 루피아를 인출시에 수수료가 약 1,100~1,200원 정도였던것 같네요. 수수료를 아끼시려면 한번에 많은 금액을 인출해서 가지고 다니는게 좋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수수료가 많이 차이나는것은 아닙니다. ^^;
통신 서비스 사용
- 인도네시아는 심카드를 따로 구매해서 휴대폰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식
- 선불제 방식이며 서클K, 알파마트, 인도마트 등에서 쉽게 충전이 가능
- 현지에서 심카드 구매 (SIMPATI, INDOSAT, EXCEL)
- SIMPATI가 통신 품질이 가장 뛰어남
- 사용할 휴대폰의 컨트리락이 해제되어 있어야 함 (아이폰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어 통신사에서 해제시켜야 함, 갤럭시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해제되어 있음)
- 외부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싶다면 월 정액제를 가입하는게 훨씬 저렴함 (국내돈으로 한달에 약 13,000원 정도)
070 전화
- 한국과 무료 통화를 위해 필요
- LG U+를 2개 개통하고 한대는 한국의 가족또는 애인에게, 한대는 들고 나가서 설치하면 무료로 통화 가능
- 기기별로 성능에 차이가 있으며 가낭 무난한 모델은 WPU-7800
- 일반 가정용으로는 품절되어 구하기 어려움.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해외 사업용으로해서 판매하는 사업자가 있으니 그쪽을 통해서 구매하면 됨
인도네시아 비자 발급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을 이용하면 기내에서 비자 발급이 이루어 지기때문에 입국 심사대를 빨리 통과 할 수 있음. 비자 발급이후 나눠주는 종이를 나가는 길에 보여주기만 하면 됨. 비자 선 발급자를 위한 통로가 따로 있으니 괜히 길게 줄 서서 기다릴 필요 없음
의류
- 대부분의 날씨가 덥기 때문에 반팔, 반바지로 준비
- 간혹 비온 이후나 고지대는 쌀쌀하므로 여분의 긴팔, 긴바지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