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Docs에서 블로그에 글 포스팅하기

Category:
Author: zemna
Date: April 17, 2021
Share this:

Google사의 온라인 문서편집 서비스인 Google Docs에서 워드프레스나, 텍스트큐브와 같은 블로그로 글을 포스팅하는 기능이 존재한다.

일단 블로그에 포스팅할 문서를 작성하고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버튼 오른쪽에 보면 'Share' 버튼이 있다. 버튼을 눌러보자

위 화면과 같은 메뉴가 출력된다. 'Publish as web page...' 메뉴를 클릭한다. 출력되는 페이지에 2개의 기능이 있는데 아래쪽이 블로그에 포스팅하는 기능이다.

일단 'Post to blog' 버튼을 누르기 전에 블로그 설정을 먼저 해 줘야 하므로 버튼 하단에 있는 'change your blog site settings' 링크를 클릭하자.

각각의 항목에 대한 설정은 아래와 같이 하면 된다.

Existing Blog Service

  • 만일 콤보박스에 존재하는 업체에서 블로그를 호스팅하고 있으면 'Hosted provider' 항목을 선택하면 되고, 직접 설정하고 싶으면 'My own server/custom' 항목을 설정하고 아래쪽에 API와 URL을 설정해주면 된다. 현재 사용중인 블로그에 따라 API의 종류가 틀릴 수 있으므로 리스트에서 지원하는 API를 잘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인 블로그라면 MetaWeblog API를 거의 지원할 것이다. 참고로, 워드프레스에서는 모든 API를 다 지원한다. API를 선택 후 URL항목에는 xmlrpc.php 파일의 경로를 적어주면 된다.

Existing Blog Settings

  • 블로그에 접속할 계정정보를 설정해주면 된다.

Options

  • Include the document title when posting (if supported)

  • 글을 포스팅할 때, 현재 문서의 타이틀을 포함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블로그에서 타이틀을 지원한다면 체크한다.

여기까지 설정하고 하단의 'Test' 버튼을 눌러보면 정상적으로 입력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일 제대로 테스트가 되지 않는다면 블로그 API를 잘못 설정했거나, 블로그에서 API를 통해 글을 포스팅하는 것을 막아놔서 그럴수도 있다. 워드프레스의 경우에는 [설정 -> 쓰기] 메뉴로 이동해보면

위의 그림과 같이 'XML-RPC' 출판 프로토콜을 사용할 것인지 체크하는 항목이 있다. 이 항목이 체크되어 있어야 Google Docs에서 포스팅이 가능해 지므로 체크하도록 하자.

블로그 설정이 끝났으면 'Post to blog' 버튼을 누르자. 그러면 블로그에 포스팅된 글을 확인할 수 있다. 포스팅후에는 Google Docs에서 블로그의 글을 지우거나, 문서가 수정되었을 경우 다시 포스팅할 수 있는 기능도 있으니 매우 편리하다.

이 글은 구글 독스(Google Docs)에서 작성되어 포스팅 되었습니다.

Share this: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Let's connect and create
something awesome together!
2023 -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Made by ZEMNA.NET with ❤️
crossmenu linkedin facebook pinterest youtube rss twitter instagram facebook-blank rss-blank linkedin-blank pinterest youtube twitter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