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Address

304 North Cardinal St.
Dorchester Center, MA 02124

VisualSVN Server를 이용해 손쉽게 SVN 서버 구축하기

VisualSVN Server를 이용하면 아파치(Apache)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SVN 서버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다.

1. VisualSVN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의 VisualSVN Server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한다.

VisualSVN Server 다운로드 링크http://www.visualsvn.com/server/download/

쉬프트를 누르고 클릭하면 새창에서 열립니다.

위 화면에서 처럼 화면 중앙에 보이는 ‘download now’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된다.

참고로, VisualSVN Server 프로그램에 Subversion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Subversion은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2. VisualSVN Server를 설치한다.

계속 ‘Next’ 버튼을 누르다 보면 아래와 같이 Component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현재 우리는 VisualSVN Server와 관리 콘솔을 현 PC에 같이 설치 해 보도록 하겠다. 만일 실질적인 VisualSVN Server가 다른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고, 현 PC에서는 관리 콘솔만 설치하려 한다면 아래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다시 ‘Next’ 를 클릭하자.

VisualSVN Server를 설치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Repositories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Repositories는 우리말로 ‘저장소’ 라고 보통 얘기하며, svn으로 관리될 모든 프로젝트의 부모 디렉토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Server Port는 원하는 포트를 지정하도록 한다. 오른쪽에 ‘Use secure connection’ 항목이 체크되어 있으면 https 를 통해서 svn에 접근하게 되고, 체크를 하지 않으면 http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다.

Authentication 항목은 2개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Use Subversion authentication’은 VisualSVN Server에서 사용할 사용자 및 그룹을 따로 만들어서 관리한다는 뜻이고, ‘Use Windows authentication’은 윈도우 운영체제의 사용자 및 그룹 정보를 그대로 이용한다는 뜻이다.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된다.

이후에는 특별한 내용이 없으므로 계속 ‘Next’를 눌러 설치를 마치도록 한다.

3. 설치된 VisualSVN Server를 실행한다.

바탕화면 및 프로그램 그룹에 생성된 VisualSVN Server Manager를 실행해 보자.

위 그림과 같이 GUI 상에서 간편히 설정할 수 있는 SVN 서버가 구축되었다.

그러면 이제 샘플로 하나의 프로젝트를 만들어 보자.

4.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한다.

화면의 ‘Repositories’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Create New Repository’ 항목을 선택한다.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 Repository Name항목에 생성하려고 하는 저장소명을 입력한다. 여기에선 TestProject라고 입력했다.

그리고 하단에 보면 ‘Create default structure (trunk, branches, tags)’ 체크박스가 있다. 이 체크박스를 체크하게 되면 최초 저장소 생성시 하부에 trunk, branches, tags 폴더를 자동으로 생성해 준다. 이 하부 폴더들은 일반적으로 많이들 사용하는 저장소 구성이라고 보면 된다. 간단히 설명을 하자면, trunk 폴더는 항상 최신 소스코드가 유지되는곳, branches 폴더는 소스코드에서 특수한 기능이 추가된 특별한 버전이 만들어 질경우 하부에 각각 폴더를 만들어 관리하는 곳, tags 폴더는 소스코드 관리중 원하는 단계의 소스코드를 따로 분리하여 저장해 놓을때 사용한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OK 버튼을 눌러 저장소를 생성하게 되면 아래의 화면과 같이 저장소가 생성되며 기본적인 폴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저장소에 권한을 부여한다.

VisualSVN Server의 기본설정은 Everyone이 Read/Write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소스코드의 보안을 위해 사용자를 설정해보도록 하자.

Users 항목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Create User’ 메뉴를  선택하도록 하자.

새로운 계정 하나를 생성하도록 하겠다.

이제, 생성한 사용자를 TestProject 저장소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해 보자. TestProject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Properties’ 메뉴를 클릭하도록 하자.

아래의 화면과 같이 Security 탭에 현재 Everyone이 Read/Write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증된 사용자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Everyone은 아래 항목에서 ‘No Access’로 설정하여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고, Add 버튼을 클릭하여 아까 생성한 사용자를 추가하여 Read/Write 권한을 주도록 하자.

이제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웹브라우저로 접근해보도록 하겠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하여 주소에 ‘http://localhost:81/svn/TestProject‘ 를 입력해보자.

위 화면과 같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아까 생성한 계정정보를 입력해 보도록 하자.

아까 생성한 프로젝트의 구조가 표시되면 정상적으로 설정된 것이다.

마치며,

기존에 아파치, Subversion 등등 필요한 여러한 여러 프로그램를 설치 및 구성하는데 애를 먹어본 사람이라면, VisualSVN Server의 간편함에 반하게 될 것 같다. 정말 간편하고 모든것을 관리 할 수 있는 GUI 화면을 제공해주기까지 하니 정말 감사할 따름이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